티스토리 뷰

  • 문제

   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이 수를 시작해서 n, d(n), d(d(n)), d(d(d(n))), ...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.
    예를 들어,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+ 3 + 3 = 39이고, 그 다음 수는 39 + 3 + 9 = 51, 다음 수는 51 + 5 + 1 = 57이다.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.
    33, 39, 51, 57, 69, 84, 96, 111, 114, 120, 123, 129, 141, ...
    n을 d(n)의 생성자라고 한다.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, 39는 51의 생성자, 51은 57의 생성자이다. 생성자가 한 개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. 예를 들어, 101은 생성자가 2개(91과 100) 있다.
    생성자가 없는 숫자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. 100보다 작은 셀프 넘버는 총 13개가 있다. 1, 3, 5, 7, 9, 20, 31, 42, 53, 64, 75, 86, 97
   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  • import java.io.BufferedWriter;
    import java.io.IOException;
    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;
    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// 출력
    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    int n = 10001;
    int sum = 0, i, x;
    boolean[] NSN = new boolean[n]; // Not Self Num
    for (i = 1; i < n; i++) {
    x = i;
    sum = x;
    // 각 자리 수 더하기
    while (x != 0) {
    sum += x % 10;
    x = x / 10;
    }
    // 셀프넘버가 아닌 숫자(생성자가 x인 숫자)
    if (sum <= 10000) {
    NSN[sum] = true;
    }
    }
    i = 1;
    while(i < 10000) {
    if(!NSN[i]) {
    bw.write(i+"\n");
    }
    i++;
    }
    bw.flush();
    bw.close();
    }
    }

    처음에 n을 10000으로 설정했다가 런타임에러가 났다. 단순히 10000까지만 돌리면 되니까 하고 10000으로 설정했는데, NSN[] 배열이 길이는 10000이지만, 인덱스로 따지면 0~9999까지만 존재한다.

    NSN[sum]으로 접근할 때에 sum이 10000이 될 수도 있으므로 결국 배열의 길이는 10001이 되어야 한다.

    자바에는 기본값이 있으니까 그것을 이용해서 푸는 게 포인트 같다.

 

문제 출처 - 백준

 

'Data Structure &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Queue  (0) 2019.05.27
[Java] Stack, reverseString  (0) 2019.05.27
자바_빠른 A+B  (0) 2019.05.13
JS_스킬트리  (0) 2019.05.03
JS_쇠막대기  (0) 2019.05.03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